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계산은 2025년부터 변경된 지급 기준과 신청 조건에 따라, 부모의 일과 양육의 균형을 현실적으로 지원하는 핵심 제도입니다.
“하루 2시간만 일찍 퇴근하면 한 달 급여는 얼마나 줄까?”
“단축근무하면 손해 보는 걸까, 아니면 지원금으로 커버가 될까?”
이 궁금증을 정확하게 해결하기 위해, 2025년 최신 기준으로 단축급여 계산법을 풀어서 설명드립니다.
2025년부터는 단축근무 급여의 지원 비율과 상한액이 크게 상향되었습니다.
즉, 줄인 시간만큼 급여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일정 비율을 채워주는 방식입니다.
고용센터에서 승인하면, 통상 14일 이내(평일 기준) 신청서에 적힌 계좌로 지급됩니다.
회사와 정부가 지급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액 합계는 단축 전의 통상임금 수준을 넘을 수 없습니다.
통상임금을 넘는 금액은 정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에서 감액됩니다.
“그럼 실제로 얼마나 받게 될까?”를 이해하려면 계산 공식을 알아야 합니다.
※ 단, 각 단계별 상한액 초과 시, 해당 상한까지만 지급
계산식만 봐서는 어렵죠. 예시를 보면 훨씬 쉽게 이해됩니다.
👉 계산 흐름
👉 총 월 수령 예상: 약 974,000원 (세전 기준)
“계산했더니 생각보다 받을 수 있는 금액이 크네요.”
그렇다면 신청 자격도 확인해봐야겠죠.
급여 계산 시 대부분 ‘세전 기준’이지만, 실제 입금액은 다를 수 있습니다.
단축급여는 과세 대상 소득이므로,
등이 공제되어 입금됩니다.
👉 일반적으로 실수령액은 계산 금액의 약 93~95%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Q. 주 10시간보다 적게 줄여도 신청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다만 주당 총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하며, 급여도 비례 지급됩니다.
Q. 육아휴직 중인데 단축근무로 전환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단, 단축근무 → 육아휴직 전환은 불가합니다.
Q. 수당은 언제 지급되나요?
A. 단축 시작 1개월 이후 신청 가능하며, 익월에 소급 지급됩니다.
고용24_개인
m.work24.go.kr
급여 계산이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졌다면, 오늘 이 설명이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시간을 줄이는 대신, 수입까지 줄어들까” 고민되신다면, 지금 확인해보세요.
아이돌보미 급여 완전 분석, 시급부터 월급·수당까지 한눈에! (1) | 2025.04.25 |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서·확인서|제출서류부터 급여 신청까지 (0) | 2025.04.25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총정리|신청 대상, 기간, 시간까지 한눈에 (2) | 2025.04.24 |
청년내일저축계좌, 실업급여 중복 가능? 알바·유지 조건 총정리 (3) | 2025.04.24 |
2025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구입처·사용처·환급행사 총정리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