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투자 자문이나 법률 자문이 아닙니다.
하지만 미국 IRS 공식자료, FATCA 규정,
그리고 실제 브로커리지 계좌 개설 경험과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
2025년 기준으로 바뀐 절차와 요구 서류를 정리한 정보 큐레이션 글입니다.
📌 해외자산 신고 관련 기본 제도와 용어가 궁금하시다면,
👉 비거주자의 외화자산 관리 전략 총정리 글을 먼저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가능합니다.
하지만 FATCA 도입 이후, 외국인의 계좌 개설 조건은 상당히 까다로워졌습니다.
특히 한국처럼 미국과 FATCA 협정을 맺은 국가의 국민은,
계좌 개설 시점부터 서류 요구, 검토, 심사 과정이 크게 달라졌습니다.
FATCA (Foreign Account Tax Compliance Act)는
미국 시민권자/영주권자가 해외에서 숨겨둔 자산을 추적하기 위해 2010년에 제정된 법입니다.
하지만 그 영향은 미국 시민이 아닌 외국인 투자자에게도 미칩니다.
왜냐하면:
미국 내 금융기관은 외국인 고객에 대해서도 '미국 납세자가 아님을 증명'할 의무가 있기 때문입니다.
즉, 외국인(한국인 포함)이 미국 증권사 계좌를 개설하려면
반드시 "나는 미국 납세의무자가 아니다"라는 서류를 제출해야 하죠.
서류명 | 설명 | 목적 |
---|---|---|
W-8BEN | 미국 납세의무자 아님을 증명하는 양식 | FATCA 면제용 |
여권 사본 | 신분 확인 | 본인 인증 |
주소 증명 서류 | 공과금, 은행 명세서 등 | 해외 거주 확인 |
ITIN (선택적) | 미국 납세자 번호 (없어도 가능) | 일부 브로커에선 요구 |
🔍 W-8BEN 양식은 3년마다 갱신 필요
만약 미국 납세의무자가 되면, W-9 양식 제출이 필요하고, IRS에 직접 신고하게 됩니다.
📌 일부 브로커는 KYC(고객확인제도) 심사로 계좌 개설을 거절하기도 함
📌 중개 플랫폼 (ex: 인터랙티브 브로커스, 찰스슈왑, TD아메리트레이드) 등은
한국인을 받는 정책이 매년 조금씩 다름
1. FATCA 서류 심사 강화
2. 미국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KYC 기준 상향
3. 미국 내 송금/출금 통제 조건
Q1. 미국 증권사 계좌 개설하면 FATCA 신고 대상인가요?
아닙니다. W-8BEN 양식을 제출하면 '미국 납세자가 아님'을 증명한 것이므로,
FATCA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한국 세법상 해외계좌 5억 원 이상 보유 시 국세청 신고 대상입니다.
Q2. 한국에서 미국 주식 투자하려면 꼭 미국 계좌가 있어야 하나요?
아닙니다.
국내 증권사를 통해 미국 주식에 간접 투자하는 것이 더 간편합니다.
미국 증권사 계좌 개설은 직접 투자, 옵션/ETF/펀드 활용 등 고급 전략을 원할 때만 추천됩니다.
Q3. 미국 시민권자라면 어떤 서류를 내야 하나요?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는 W-8BEN이 아닌 W-9 양식을 제출해야 합니다.
이 경우 FATCA 및 IRS 신고 의무가 발생하며, 미국 내 세무 보고 대상자가 됩니다.
다음 글에서는 미국 계좌 개설 후 세금 신고 방법,
또는 미국 ETF 투자 시 원천징수 정산법 등에 대해 이어서 다룰 예정입니다.
궁금한 점은 댓글이나 메시지로 남겨주세요!
비거주자의 외화자산 관리 전략: 해외계좌신고부터 FATCA까지 핵심 가이드
비거주자의 외화자산 관리 전략: 해외계좌신고부터 FATCA까지 핵심 가이드
❝이 글은 세무사나 회계사 자격이 있는 작성자가 아닙니다.하지만 국세청, IRS, OECD 등 신뢰할 수 있는 공식 자료를 기반으로,복잡한 제도를 쉽게 이해하고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정리한
www.k-infinityblog.com
한국 국적자, 해외 영주권자, 시민권자 :해외 자산 신고 기준 총정리
한국 국적자, 해외 영주권자, 시민권자 :해외 자산 신고 기준 총정리
이 글은 세무사나 변호사가 쓴 글은 아닙니다.하지만 국세청, IRS, OECD 등 공식 문서와 다수의 회계법인 해설 자료를 바탕으로해외 거주자나 해외자산 보유자의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만 정
www.k-infinityblog.com
개인도 쓸 수 있는 AI 투자 도구 정리 (2) | 2025.04.14 |
---|---|
국민연금 수익률 30%의 비밀은 이것… 개인이 못하는 이유는? (1) | 2025.04.14 |
한국 국적자, 해외 영주권자, 시민권자 :해외 자산 신고 기준 총정리 (4) | 2025.03.24 |
비거주자의 외화자산 관리 전략: 해외계좌신고부터 FATCA까지 핵심 가이드 (2) | 2025.03.24 |
파킹통장의 뜻, 장단점 분석 – 단기 자금 관리 꿀팁 (5)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