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세무사나 변호사가 쓴 글은 아닙니다.
하지만 국세청, IRS, OECD 등 공식 문서와 다수의 회계법인 해설 자료를 바탕으로
해외 거주자나 해외자산 보유자의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만 정리한 정보 큐레이션 글입니다.
해외 이주자, 유학생, 영주권자, 시민권자 등
국적과 거주지의 조합이 다양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합니다.
"나는 한국 국적이지만 미국 영주권자인데,
한국에 신고할 게 있을까?"
"한국과 미국에 동시에 계좌가 있는데, 어느 나라에 신고해야 하지?"
"외국 시민권을 땄는데, 한국 국적은 아직 유지 중이야. 세금은 어디로 내?"
자산이 아니라 "신고 의무"가 복잡한 시대입니다.
이 글에서는 "국적"과 "거주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해외자산 신고 의무를
공식 기준에 따라 정리해봅니다.
거주자 (Resident) : 한국 세법상 거주자는 다음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면 해당됩니다:
비거주자 (Non-Resident)
중요 포인트: 국적이 아니라 생활/소득/거주 중심지가 어디냐에 따라 과세 여부가 달라집니다.
분류 | 국적 | 해외 영주권/시민권 | 한국 내 거주 여부 | 한국 과세 대상? | 해외자산 신고 의무 |
---|---|---|---|---|---|
① 한국 국적 + 한국 거주 | 없음 | O | ✅ 거주자 | ✅ O | ✅ 해외계좌 5억↑ 신고 대상 |
② 한국 국적 + 해외 영주권 + 해외 거주 | O | ✅ | ❌ 비거주자 | 🔶 제한적 (한국 내 소득만) | ❌ 신고 의무 없음 |
③ 한국 국적 + 미국 시민권자 + 해외 거주 | ✅ | ✅ | ❌ 비거주자 | 🔶 제한적 | ✅ 미국 IRS 신고 의무 (FBAR, FATCA) |
④ 외국 국적 + 한국 거주 (예: 외국인 유학생) | ❌ | ✅ | ✅ 거주자 | ✅ O | ✅ 해외자산 5억↑ 신고 대상 |
⑤ 복수 국적 (한국+미국) + 미국 거주 | ✅✅ | ✅ | ❌ 비거주자 | 🔶 한국 소득만 과세 | ✅ 미국 신고 필요 (FATCA 등) |
🔶 “한국 내 소득만 과세”는, 예: 부동산 임대소득, 배당 등 국내 발생 소득만 과세된다는 의미입니다.
✅ “해외계좌 신고 대상”은 잔액 합산 5억 원 초과 시, 매년 6월 국세청에 제출해야 함.
신고하지 않을 경우,
미국은 “세계 소득 과세 원칙”을 채택합니다.
즉, 미국 시민권자와 영주권자는 전 세계 어디에 있든 미국 IRS에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
FATCA (Foreign Account Tax Compliance Act)
FBAR (Foreign Bank Account Report)
Q1. 한국 국적자가 해외에 5년 이상 살면 비거주자인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단순한 체류기간이 아니라,
실제 생활/경제 중심이 어디에 있는지, 가족이 어디에 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봅니다.
단, 5년 이상 연속 해외 체류한 경우 비거주자로 인정받기 쉬운 상황이긴 합니다.
Q2. 시민권자가 아닌데 미국 ETF에 투자하면 FATCA 신고 대상인가요?
아닙니다. 한국 거주자가 미국 ETF에 투자하는 경우,
FATCA 대상은 아니며, W-8BEN 양식 제출로 미국 납세자가 아님을 증명하면 됩니다.
Q3. 복수국적인데, 해외자산을 어디에 신고해야 하나요?
주 거주국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시민권자이며 한국에도 장기 거주 중이라면,
미국에는 전 세계 소득 신고, 한국에는 거주 여부에 따라 해외계좌 신고 여부를 따집니다.
해외자산 신고는 점점 자동화되고 투명해지는 시스템 속으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중요한 건 탈세가 아니라, 누락이나 실수 없이 구조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것입니다.
복잡한 국적·거주·영주권 구조일수록, 신고 전략은 더 중요해집니다.
앞으로 이와 관련한 실제 사례 기반 포스트도 이어서 작성할 예정입니다.
궁금한 상황이 있다면 댓글이나 메시지로 남겨주세요!
비거주자의 외화자산 관리 전략: 해외계좌신고부터 FATCA까지 핵심 가이드
비거주자의 외화자산 관리 전략: 해외계좌신고부터 FATCA까지 핵심 가이드
❝이 글은 세무사나 회계사 자격이 있는 작성자가 아닙니다.하지만 국세청, IRS, OECD 등 신뢰할 수 있는 공식 자료를 기반으로,복잡한 제도를 쉽게 이해하고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정리한
www.k-infinityblog.com
FATCA 이후 미국 증권사 계좌 개설, 이렇게 바뀌었다 (2025년 기준)
FATCA 이후 미국 증권사 계좌 개설, 이렇게 바뀌었다 (2025년 기준)
이 글은 투자 자문이나 법률 자문이 아닙니다.하지만 미국 IRS 공식자료, FATCA 규정,그리고 실제 브로커리지 계좌 개설 경험과 사용자 피드백을 바탕으로2025년 기준으로 바뀐 절차와 요구 서류를
www.k-infinityblog.com
국민연금 수익률 30%의 비밀은 이것… 개인이 못하는 이유는? (1) | 2025.04.14 |
---|---|
FATCA 이후 미국 증권사 계좌 개설, 이렇게 바뀌었다 (2025년 기준) (2) | 2025.03.24 |
비거주자의 외화자산 관리 전략: 해외계좌신고부터 FATCA까지 핵심 가이드 (2) | 2025.03.24 |
파킹통장의 뜻, 장단점 분석 – 단기 자금 관리 꿀팁 (5) | 2025.03.20 |
재테크 가계부 작성 장단점 활용! 돈이 새는 곳을 찾아라 (4)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