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도시락에도 저속노화라는 말이 붙기 시작했어요.
‘정희원 교수 도시락’이라고 불리는 도시락도 나오고, 편의점 햇반도 저속노화 식단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막상 도시락을 고르려고 보면, “이게 진짜 저속노화 기준에 맞는 건가?” 싶을 때가 있죠.
오늘은 그 궁금증, 짧고 간단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이 도시락, 서울아산병원 정희원 교수의 식단 기준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고 해요.
핵심은 이거예요. “혈당 덜 오르고, 포만감은 오래가는 식사”.
보통 도시락보다 칼로리는 낮고, 단백질은 풍부해요.
“가볍지만 든든하다”는 후기가 많은 이유죠.
이쯤에서 궁금해지죠. “햇반 먹어도 저속노화 되는 거야?”
사실 일부 햇반 제품은 저속노화 식단 기준과 꽤 잘 맞습니다.
정제된 탄수화물이 아닌, 현미·잡곡 위주 제품이죠.
제품명 | 구성 | 열량 | 나트륨 | 특징 |
---|---|---|---|---|
햇반 현미밥 | 100% 현미 | 315kcal | 0mg | 정제 탄수화물 없음 |
햇반 5곡밥 | 현미, 흑미, 보리 등 | 290kcal | 5mg | 식이섬유↑ |
일반 도시락 | 흰쌀밥 + 튀김류 | 680~800kcal | 1200~1600mg | 저속노화와 거리가 있음 |
즉, “밥 하나만 바꿔도” 도시락 전체가 저속노화식에 가까워질 수 있어요.
이 3가지만 보면, 도시락이 저속노화에 적합한지 바로 판단할 수 있어요.
참고: 한겨레, 헬스조선, 매일경제, 서울아산병원 정희원 교수 인터뷰, 세븐일레븐 건강 도시락
e병무지갑 전역증 발급부터 로그인 오류 해결 (1) | 2025.04.19 |
---|---|
저속노화 식단, 일주일 어떻게 짤까? 하루 3끼 실전 예시 정리해봤어요 (0) | 2025.04.17 |
저속노화란? 도시락부터 햇반까지, 2030이 선택한 식사의 변화 (2) | 2025.04.17 |
빅텐트 론 뜻?? 선거철 단골 정치전략 해설 (2) | 2025.04.16 |
“캐시 카우?” 어디서 들어봤는데 (1)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