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금통장이란? 지금 만들어도 될까? 장단점부터 세금까지 총정리

라이프 생활정보/재테크 · 자산관리

by 인포니티365 2025. 4. 17. 16:04

본문

반응형

요즘 금값이 많이 오르면서,

“금이라도 좀 사둘까?”

고민하신 분들 많으실 거예요.
하지만 실물 금은 부담스럽고,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도 막막하죠.

이럴 때 등장하는 게 바로 ‘금통장(골드뱅킹)’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통장의 개념부터 장단점, 세금·수수료, 개설 방법까지
✔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금통장이란?

금통장은 은행에서 개설 가능한 금 투자 전용 계좌입니다.
입금한 원화 기준으로, 국제 금 시세에 따라 소량의 금이 적립됩니다.
쉽게 말하면, 금에 투자하는 입출금 통장인 셈이죠.

📌 주요 특징
- 실물 금 없이도 금 시세에 따라 자동 적립
- 소액 가능 (0.01g 단위)
- 수시 입출금 / 기간 제한 없음
- 모바일 앱으로 간편 개설

금통장

 

왜 금통장이 주목받을까?

2025년 들어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찍으면서,
실물 금이 아닌 소액 간편 투자 수단으로 금통장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 2025년 기준 - 금통장 보유자 수 약 25만 8천명
- 전년 대비 약 14,000명 증가
- 국민·신한·우리은행 중심으로 급증세

장점은 무엇이고, 단점은 뭘까?

✅ 금통장 장점
- 소액도 OK: 1g 미만 투자 가능
- 실물 보관 불필요: 분실 위험 없음
- 수시 입출금 가능: 유동성 우수
- 언제든 매매 가능: 앱 기반으로 빠르게 거래
⚠ 금통장 단점
- 15.4% 배당소득세 부과 (매매 차익)
- 금 현물로 인출 시 부가가치세 10% 별도
- 수수료 약 1% 내외 발생 가능
- 예금자보호 비적용 → 원금 보장 아님

금통장 장점 단점

세금과 수수료는 어떻게 되나요?

금통장은 '투자 상품'이기 때문에, 예·적금과는 세금 체계가 다릅니다.

💸 세금/수수료 요약
- 매매 차익 = 15.4% 배당소득세
- 금으로 출금 = 10% 부가세
- 현금화/매도 = 약 1% 수수료

✔ 단기 매매보다는, 중장기 관점에서 분할 매수하는 분들께 적합합니다.

개설 방법과 주의사항

금통장은 대부분의 주요 시중은행에서 개설 가능합니다.
요즘은 모바일 앱으로도 3분 내 개설이 가능해졌습니다.

🏦 개설 가능한 주요 은행
-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등

은행마다 수수료나 환산 방식, 최소 거래 단위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가입 전 간단히 비교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금통장 만들기

금 투자,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금통장은 실물 구매의 부담은 덜고,
금 시세에 연동된 수익을 추구하는 구조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금통장은 예금자 보호가 되나요?
A. 아닙니다. 금통장은 투자 상품이므로 예금자 보호법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Q2. 세금은 꼭 내야 하나요?
A. 매매 차익 발생 시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금으로 받으면 부가세도 별도 발생합니다.

Q3. 언제 매수하는 게 좋을까요?
A. 금 시세 변동이 큰 편이므로, 분할 매수나 정기적 투자 전략이 권장됩니다.

Q4. 금 대신 금 ETF는 어떤가요?
A. 금 ETF는 주식처럼 거래되며, 수수료는 낮지만 거래세는 별도 발생합니다.

요약하며: 이런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 금통장이 적합한 경우
- 소액으로 금 투자를 시작하고 싶은 분
- 실물 보관 없이 금 시세를 따라가고 싶은 분
- 예금이 아닌, 분산 투자 수단을 찾는 분

 

금 시세는 늘 오르내림이 있고, 금통장도 엄연히 투자 상품이기에 손실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적절한 정보와 전략으로 접근한다면, 소액으로도 안전자산을 분산 투자할 수 있는 괜찮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 골드뱅킹 상품설명서 / YTN / 매일경제

 

함께보면 좋은글

2025년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미중 무역 전쟁과 달러 약세가 부추긴 안전자산 붐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