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투잡 하면 불법 아닌가요? 혹시 회사에 걸리면 짤리는 거예요? 사실 이 질문 많이 들어요. 근로기준법상 투잡은 불법 아니에요. 다만, 회사마다 취업규칙이 다르기 때문에 거기서 겸업을 금지하고 있다면 문제가 될 수 있어요. 특히 경쟁사에서 일하는 건 법적으로도 민감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Q: 주말 알바 뛰면 무조건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아니에요! 주말 알바처럼 근로소득이면 원천징수로 이미 세금 떼고 있어서 따로 신고 안 해도 되는 경우가 많아요. 다만 블로그, 유튜브, 프리랜서처럼 사업소득이 생기면, 연 300만 원 넘는 순간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해요. (보통 5월에요!)
Q: 회사 몰래 투잡하면… 진짜 들키기도 하나요? 안타깝지만, 그럴 수도 있어요. 특히 알바로 고용보험에 자동 가입되면 그 기록이 회사에 뜰 수 있어요. 그래서 그런 분들은 고용보험 안 들어가는 부업(콘텐츠형, 프리랜서 등)을 선호하더라고요.
Q: 투잡 수익 나면 건강보험료도 오르나요? 이건 소득 규모에 따라 달라요. 연 2,400만 원을 초과하는 추가소득이 생기면 건강보험료가 조정될 수 있어요. 그 이하라면 대부분 영향 없어요. 프리랜서처럼 사업소득이 큰 경우엔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어요.
Q: 블로그나 유튜브로 수익 나도 신고해야 해요? 맞아요. 이런 수익은 사업소득으로 분류돼요. 연간 300만 원 넘으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고, 자잘해도 계속 수익 나면 사업자 등록을 고려해보는 게 좋아요. 대신 장비, 인터넷 비용 같은 걸 경비처리해서 절세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어요!
Q: 사업자 등록하면 오히려 더 위험해지는 거 아니에요? 꼭 그렇진 않아요. 오히려 투명하게 신고하고, 경비처리까지 가능하니까 나중에 세무조사나 소득 누락 걱정을 덜 수 있어요. 단, 회사 규정 위반 소지가 있다면 신중하게 준비하는 게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