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는 정규직만 받는다는 건 오해입니다.
6개월 단기 계약직도 조건만 맞으면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
이 글은 **단기 계약직의 실업급여 수급 가능성**과
**꼭 알아야 할 조건, 자주 묻는 질문, 신청 시 팁**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실업급여란? 기본 개념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자가 비자발적으로 퇴사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지원금입니다.
소득 보전과 함께 **재취업 활동을 돕는 목적**으로 지급됩니다.
💡 핵심은 ‘고용보험 자격’입니다.
직종이나 직급보다 ‘보험 가입 기간’과 ‘퇴사 사유’가 중요합니다.
6개월 계약직, 받을 수 있는 조건은?
결론부터 말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아래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 ① 고용보험 가입일 180일 이상
→ 근로일이 아닌 ‘피보험 자격 유지일’ 기준 - ② 비자발적 퇴사
→ 계약 종료는 비자발적 퇴사로 인정
⚠️ 이건 놓치기 쉽습니다:
“6개월 계약했으니까 180일 넘었겠지?” 아닙니다.
주 3~4일 근무일 경우, 180일 기준 미달일 수 있습니다.
헷갈리는 상황 정리
사례 | 수급 가능? |
---|---|
6개월 계약, 주 5일 근무, 계약 만료 | ✅ 가능 |
4개월 계약, 자발적 퇴사 | ❌ 불가 |
계약 종료 전에 무단결근 후 해고 | ❌ 불가 (귀책 사유) |
자주 묻는 질문 & 팁
Q. 주 3일 일한 계약직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근무일수보다 고용보험 ‘피보험 일수’ 기준이 중요합니다. 주 3일은 요건 미달될 수 있습니다.
Q. 퇴사 후 언제까지 신청해야 하나요?
퇴사 후 12개월 이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늦어지면 수급 불가할 수 있습니다.
Q. 실업급여 받는 중에 아르바이트 하면 어떻게 되나요?
신고하지 않은 부정 수급 시 환수 대상입니다. 단기 알바라도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Q. 계약 끝났는데 회사가 말린 것도 없어요. 이거 비자발적 퇴사 맞나요?
네, 계약기간 종료는 자동으로 ‘비자발적 사유’로 인정됩니다.
Q. 고용보험 가입 여부는 어디서 확인하죠?
고용보험 홈페이지 → 민원서비스 → 피보험자 조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마무리 정리
6개월 계약직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건 **’고용보험 자격 180일‘**과 **’퇴사 사유가 비자발적‘**이라는 조건입니다.
헷갈리는 상황이 있다면 고용센터에 직접 문의하고,
되도록 퇴사 전에 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