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돌보는 따뜻한 손길, 아이돌보미.
‘아이돌보미 급여’에 대해 궁금해 찾아오신 분들이라면,
아마 실제로 이 일을 고려 중이시거나 이미 활동 중이신 분들이겠죠?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아이돌보미 시급, 월급, 활동수당, 그리고
전문성·연령에 따른 급여 차이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아이돌보미 급여, 실제로 얼마나 받을까요?
아이돌보미의 급여는 고정 월급제가 아니라, 근무 시간 × 시급 + 수당 구조입니다.
기본 시급은 10,590원이며, 서비스 유형과 근무 조건에 따라 시급이 가산됩니다.
2025년 기준 아이돌보미 시급 요약
구분 | 시급 | 설명 |
---|---|---|
기본형 | 10,590원 | 아동 1인 기준 |
종합형 서비스 | 14,240원 | 기본형 + 3,650원 |
질병감염 아동 돌봄 | 13,770원 | 기본형 + 3,180원 |
기관연계 서비스 | 18,170원 | 가장 높은 시급 |
아동 2명 돌봄 | +5,295원 추가 | 동시 돌봄 수당 |
야간·휴일·연장 | 기본 시급의 +50% | 법정 가산 수당 |
아이돌보미 월급 계산 예시
예시: 주 5일, 하루 4시간 근무 시
– 주 20시간 × 4.33주 ≈ 월 86시간
– 10,590원 × 86시간 = 약 91만원
– 종합형, 야간, 아동 2인 이상 돌봄 시 최대 120~150만원대 가능

아이돌보미 수당 종류와 조건
- 명절 상여금: 경력에 따라 연 20~60만원
- 교통비: 편도 3km 이상 시 4,000~10,000원 (1일 1회)
- 법정 제수당: 주휴, 연차, 연장, 야간, 휴일 근로 수당 포함
자세한 내용은 아이돌보미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아래 그림을 누르면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급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전문성: 보육교사, 간호조무사 자격 우대
- 경력: 3년 이상일 경우 명절 수당 상향
- 연령: 제한은 없지만, 40~60대 활동자 다수
자주 묻는 질문 Q&A
Q. 시급은 매년 오르나요?
A. 네,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매년 조정됩니다.
Q. 명절 상여금은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
A. 명절 7일 전까지 근무 이력이 있고, 활동 중일 경우에 지급됩니다.
Q. 교통비는 왕복으로 주나요?
A. 아니요, 편도 기준 3km 이상부터 1일 1회 지급됩니다.
Q. 연차유급휴가는 있나요?
A. 네, 근로기준법에 따라 적용됩니다.
마무리하며: 당신의 돌봄은 소중합니다
아이돌보미는 단순히 아이를 봐주는 일이 아닙니다.
한 가정의 안정을 지켜주고, 아이의 정서를 함께 돌보는 아주 중요한 역할이에요.
이 따뜻한 돌봄이 정당한 급여와 수당으로 이어지길 응원합니다.
고민 중이시라면, 이 글이 판단에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