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공무원 여비규정이 개정되며, 일비 25,000원 정액 지급, 숙박비 실비 정산, 유류비 공식 산정 등 실무에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출장비 정산 시 주의할 사항과 실제 사례 중심으로 상세히 안내드립니다.
2025년 공무원 여비규정 핵심 요약
2025년 공무원 여비규정은 출장의 효율성과 예산 투명성을 동시에 강화한 방향으로 개정되었습니다. 일비, 숙박비, 교통비, 유류비의 세부 기준이 명확해졌으며, 증빙과 승인 절차가 강화되면서 실무자들의 출장비 정산 실수를 줄이기 위한 장치도 함께 마련되었습니다.
공무원 여비규정 일비: 1일 25,000원 정액 지급
- 2025년부터 일비는 1일 25,000원으로 인상
- 영수증 불필요, 간단한 식비·잡비 포함
- 동일 지역 장기 체류 시 감액 가능
실무 사례:
서울 본부에서 5일간 교육 참석한 김 주무관은, 총 125,000원의 일비를 수령했습니다. 단, 동일 기관에 반복 출장을 가는 경우, 회계과에서 일비 일부를 감액하기도 하므로 출장 계획서에 체류 기간을 명확히 표기해야 합니다.
숙박비: 지역별 상한액, 실비 정산 + 영수증 필수
출장 지역 | 상한액 (1박 기준) |
---|---|
서울 | 100,000원 |
광역시 | 80,000원 |
기타 지역 | 70,000원 |
- 숙박비는 영수증 제출 후 실비 정산
- 초과 비용은 본인 부담
- 출장 숙소 예약 전 상한액 확인 필수
실무 사례:
부산 출장 중 호텔 요금이 85,000원이었던 경우, 상한선 80,000원만 정산되고 초과 5,000원은 개인 부담 처리됩니다.
여비 지급 후 민원 발생이 잦은 부분이므로, 출장 담당자는 출장 전 상한 금액 안내 문서를 미리 공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교통비: 직급 기준 적용, 실비 정산
- KTX/SRT: 특실은 고위공무원 이상, 일반실은 전직급
- 항공: 비즈니스석 이용 제한 있음
- 대중교통 및 택시: 실제 이용 금액 기준
- 자가용 이용 시: 유류비 + 통행료 실비 정산
실무 팁:
지방 출장 시 고속버스 이용 후 택시비까지 정산 가능하며, 실시간 모바일 택시 영수증 출력이 가능하니 현장 정산 시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일부 회계 시스템에서는 택시 기본료 이상일 경우만 정산 허용하므로 금액 기준도 확인해야 합니다.

유류비: 연비·거리·유가 기준 공식 산정
- 공식: (주행 거리 ÷ 연비) × 유가(L당)
- 기준 예시: 100km ÷ 12km/L × 1,800원 = 약 15,000원
- 통행료·주차비도 실비 정산, 모두 영수증 필수
실무 사례:
정읍에서 광주까지 자가용 출장 간 박 사무관은, 왕복 180km에 차량 연비 11km/L, 유가 1,750원 기준으로 유류비 약 28,636원이 정산되었습니다.
이를 보다 쉽게 계산하려면 “유류비 계산기” 검색을 통해 온라인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출장 전·후 반드시 확인할 사항
- 출장 전: 출장계 작성 및 부서장 승인 필수
- 출장 후: 모든 항목 영수증 첨부 후 정산 신청
- 반복 출장 시 일비 감액 가능성 있음
- 출장비 정산 전, 반드시 2025년 공무원 여비규정 최신본 확인 권장
2025년 공무원 여비규정 요약표
항목 | 2025년 기준 지급 조건 |
---|---|
일비 | 25,000원/1일 (영수증 불필요) |
숙박비 | 서울 10만, 광역시 8만, 기타 7만 (영수증 필수) |
교통비 | 실비 정산, 직급 기준 적용 |
유류비 | 거리·연비·유가 반영 공식 산정 (영수증 제출 필수) |
자주 묻는 질문 (FAQ)
출장지에서 숙소를 무료로 제공받은 경우 숙박비 정산 가능한가요?
불가능합니다. 실제 지출 + 영수증 제출이 있어야 정산됩니다.
출장 중 식당 영수증도 제출해야 하나요?
아니요. 식비·간식비 등은 일비 항목에서 포괄되므로 별도 정산하지 않습니다.
택시비는 얼마까지 정산 가능한가요?
이용 금액 전액 정산 가능하나, 일부 기관은 기준을 둘 수 있어 부서 회계 지침 확인이 필요합니다.
여비 관련 민원이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사전에 지급 기준 안내문을 출장자에게 제공하고, 영수증 제출 체크리스트를 함께 배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무원 출장비 지원 제도”는 여비 외에 별도로 있나요?
기관에 따라 출장 수당, 특근수당, 교육참가 수당 등이 병행될 수 있으니, 부서 내 인사담당자에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공무원 여비규정은 다음 두 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인사혁신처 홈페이지: https://www.mpm.go.kr/ 에서 관련 정보를 찾아보실 수도 있습니다. 인사혁신처는 공무원 인사 및 복무 관련 규정을 관장하는 기관입니다.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에서 ‘공무원 여비 규정‘으로 검색하시면 대통령령으로 제정된 국가 공무원 여비 규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규정은 국가 공무원에 해당하며, 지방 공무원의 여비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에 따릅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